관련 규격: Q.711 ~ Q.719 (다운로드: http://www.itu.int/rec/T-REC-Q/en)
The base SCCP specification is defined by the ITU-T, in recommendations Q.711 to Q.714, with additional information to implementors provided by Q.715 and Q.716.
Q.711 Functional description of the signalling connection control part
T-REC-Q.711-200103-I!!PDF-E.pdf
Q.712 Definition and function of Signalling connection control part messages
T-REC-Q.712-199607-I!!PDF-E.pdf
Q.713 Signalling connection control part formats and codes
T-REC-Q.713-200103-I!!PDF-E.pdf
Q.714 Signalling connection control part procedures
T-REC-Q.714-200105-I!!PDF-E.pdf
Q.715 Signalling connection control part user guide
T-REC-Q.715-200204-I!!PDF-E.pdf
Q.716 Signalling System No. 7 - Signalling connection control part (SCCP) performance
T-REC-Q.716-199303-I!!PDF-E.pdf
참고>>
Q.700 CCITT No.7 신호방식의 개요
Q.701 MTP 메시지 전달부
Q.702 신호데이터링크
Q.703 신호링크
Q.704 신호망 기능 및 메시지
Q.705 신호망 구조
Q.706 메시지 전달부 신호 성능
Q.707 시험 및 유지보수
Q.708 국제신호점 부호의 번호 부여
Q.709 표준의사 신호접속
Q.710 소형시스템을 위한 단수화된 MTP 버전
Q.711 신호 접속 제어부의 기능적 설명
Q.712 SCCP 메시지의 정의 및 기능
Q.713 SCCP 포맷 및 부호
Q.714 신호 접속 제어부 절차
(발췌: http://www.ktword.co.kr/abbr_view.php?m_temp1=1462&mgid=021)
SCCP Signaling Connection Control Part 신호연결제어부
1. 개요
신호연결제어부 란 호(呼) 처리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데이타베이스 간의 질의와
같은 부가서비스를 위한 신호정보를 CCS7 신호망에서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게 하
기 위한 것으로 MTP의 기능을 보충하는 역할을 한다.
2. 참고사항
ㅇ No.7 신호방식에서 메세지전달부(MTP)의 기능을 이용하여 No.7 신호방식의 상위
계층 기능부들에게 OSI 참조모델의 3 계층(망계층)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
기능부이다.
ㅇ 이는 망계층에서 연결성 서비스와 비연결성 서비스를 4 종류의 프로토콜에 의하여
제공하고 있다.
ㅇ 각 서비스들은 SCCP와 SCCP 사용자간에 정의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SCCP사용자에
게 전달된다.
ㅇ SCCP는 망과 망 사이에 신호 패킷의 전송을 가능하게하고, 가상회로 망에서 패킷의
전송도 지원한다.
ㅇ SCCP는 MTP Level 3에 속하며, MTP(Message Transfer Part)와 합쳐져서 망서비스부
라 불려지고, MTP의 주소 기능을 보강하여 준다.
※ 참조 -> NSP (Network Service Part, 망서비스부)
